측만증이 있는 분들이 알기에 좋은 스쿼트 방법
안녕하세요. 건강운동관리사 어허다 입니다.
이번엔 측만증(scoliosis)를 가지고 있는 분들에게 스쿼트 시 좋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측만증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측만증(scoliosis)는 척추가 옆으로 휘어져 X-ray촬영(P-A방향)상 S 형태로 보이는 상태입니다. 단순히 옆으로 휘어진 것이 아닌 회전도 발생되어 있고 골반의 높이와 좌/우의 위치도 다른 상태입니다. 이러한 변형은 단시간에 생기는 것이 아닌 장시간의 잘못된 자세나 특정한 사고로 인해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측만증으로 다리 길이의 차이 어깨 높이의 차이 등 여러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측만증은 의학적 진단으로 내려집니다. 약간의 휘어짐은 측만증으로 진단이 안내려 질 수 있으며, 측만의 정도가 심하거나 걱정되는 분들은 의사와 상의 후 운동을 하시기 바랍니다.
측만증을 가진 상태로 운동할 시 신체 불균형이 더 심해지거나 예상치 못한 부상이 생길 수 있어 조심해야 합니다.
자, 이제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X-ray상 S형태를 대표로 들겠습니다.
이전 글에서 언급된 발판이 필요합니다. 발판의 높이는 측만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되겠습니다.
발판 높이 설정 : 오른발 아래에만 발판을 놓고 반듯하게 서있을 때(왼발 전체가 바닥에 닿아있어야 함) 척추의 정열이
1자가 될 정도의 높이로 설정. 척추 정렬 상태는 다른 사람이 보게 해야 합니다.
*오른발에 발판을 두는 이유 : 오른발로 밟고 서있을 시 발판의 높이만큼 오른쪽 골반이 위로 올라갑니다. 왼쪽 골반은 상대적으로 아래로 내려가며 골반의 높이 변화로 오른쪽으로 휘어진 허리가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펴지게 됩니다.
설정된 높이의 발판을 오른발 밑에 두고 스쿼트 시작 자세를 잡습니다. 그리고 불편함 정도를 파악합니다. 서있을 때 불편함 정도가 크다면 발판 높이가 너무 높아 그럴 수 있습니다.
오른발 밑에만 발판을 둔 상태에서 스쿼트를 실시합니다. 이때 대부분 체중(+중량)이 왼발에 많이 이동합니다. 이는 발판으로 인해 무게중심의 변화가 생겼기 때문입니다. 바로잡기 위해선 상체와 골반을 오른쪽으로 약간씩 이동하며 무게중심을 다시 잡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왼다리에 큰 부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앉은 자세에선 무릎의 높이는 다릅니다. 이는 발판으로 생기는 것이니 너무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신경 쓸 건 바로 위에서 언급된 무게중심의 위치입니다.
무게중심을 잡은 뒤 봐야할 부분은 무릎이 앞으로 나온 정도를 봐야 합니다. S 형태의 측만증은 앉을 시 왼쪽 무릎이 앞으로 나가 있을 겁니다. 측만증은 단순히 옆으로 휘어진 것이 아닌 척추의 회전이 있어 왼 무릎이 앞으로 나가 있습니다. 현재 S 형태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니 여기에 맞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방법은 왼쪽 엉덩이를 조금 뒤로 빼거나 오른쪽 엉덩이를 앞으로 조금 내밀면 됩니다. 반대로 오른쪽 무릎이 앞으로 나가 있다면 알려준 것의 반대로 하면 되겠습니다.
이번에 알려드린 내용과 같이 좌우의 차이를 두고 할 때는 전신을 볼 수 있는 거울 앞에서 하거나 전문적 지식을 가진 사람과 함께 하시길 바랍니다. 특히 운동을 많이 안 했던 분들은 절대 혼자하지 마시고 전문가와 함께 해주세요.
여기까지 S측만증이 있는 분들에게 알려드릴 스쿼트입니다.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분들은 위의 내용과 반대로 시행하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골반의 높이로 측만을 판단하시면 안 됩니다. 이유는 골반의 높이와 척추의 휘어진 방향이 다를 수 있습니다. 꼭 X-ray촬영으로 휘어진 방향으로 봐야 합니다. 한쪽 발에만 두는 발판은 운동하는 순간을 위한 것이지 지속적인 것은 아닙니다. 측만증을 교정하면서 운동으로 하시는 게 가장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