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드센스-->

척추측만증Scoliosis 운동 자세_회어짐

2020. 3. 3. 17:34운동

안녕하세요. 건강운동관리사 어허다 입니다.

 

이번 글은 척추측만증이 있는 분들이 운동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척추측만증에 대한 얘기는 이전 글에 간단히 썼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요즘 측만증을 가지신 분들이 많습니다. 측만증은 의학적 진단으로 내려지지만 정도가 경하면 진단 받지 않기도 합니다.

 

측만증은 대부분 성장기에 많이 생기는데, 성장속도에 맞춰 근육이나 인대 등 관절을 지지해주는 조직들의 성장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따라가지 못하여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장기가 끝난 사람의 경우 주로 생활 자세에서 대부분 비롯되고 큰 사고로 인한 외상에 의해 생기기도 합니다.

 

성장기 자녀들을 두고계신 부모들께선 자녀의 측만증을 신경안쓸 수 없을 겁니다. 이때 교정의 해야하나 어떤 운동을 시켜야할지 생각을 많이 할 겁니다.

 

여기서 짚고 넘어갈 건 성장판이 얼마나 남아있느냐 입니다. 성장판이 많이 남아있는 경우 어떠한 교정이나 운동을 해도 바른 척추를 가질 수 없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성장속도를 못 따라가기 때문입니다.

 

성장기의 교정과 운동은 측만증의 악화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바른자세를 이 때부터 유지한다면 성장이 끝나고 훨씬 빠르게 척추의 바른 정렬을 가질 수 있습니다.

 

성장기가 끝나거나 성인이 되서 측만증이 생긴 경우 자세교정과 맞는 운동을 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단, 교정치료에 너무 의지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이유는 생활에서의 자세가 가장 크게 작용합니다. 성인이되서 측만증이 생기는 경우가 그렇습니다. 다리를 꼬아서 앉거나 짝다리로 서있거나 푹신한 의자에서 한 쪽으로 기대 앉아있거나, 이런 자세로 인해 측만이 생깁니다.

 

실제로 교정을 할 때 카이로프랙틱과 같은 치료는 도움이 됩니다. 그렇다고해서 지속적인 효과가 있지 않습니다. 중요한건 치료를 하루를 받더라도 그 이후에 어떠한 자세로 생활을 하느냐에 따라 효과의 지속성이 달라집니다. 센터에서 하는 시간은 같으나 집이나 밖에서 바른자세와 교정자세를 유지하는 시간이 길 수록 빠르게 척추의 정렬이 잡힌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 말은 생활 속 자세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정확한 교정치료는 의사나 전문치료센터에서 상담과 치료를 받기 바랍니다.

 

이제 운동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교정하는 운동은 많지만 원리는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바른 척추정렬을 유지하며 근육을 쓰는 방법입니다.

 

운동 시 우선적인 것은 바른 척추정렬을 잡고 유지하는 겁니다. 휘어진 반대방향으로 몸을 말거나 이동, 혹은 소도구같은 물건을 이용하여 정렬을 잡는 겁니다.

 

정렬을 볼 때 허리(요추Lumbar spine)의 휘어진 방향을 보고 잡습니다. 예를 들어, ) 이렇게 휘어진 경우(전체적인 척추의 모양은 S형태) 몸을 오른쪽으로 상체를 움직입니다. 여기서 단순히 몸을 오른쪽으로 말았을 땐 등(흉추Thoracic spine)은 이미 오른쪽으로 휘어진 상태여서 어깨는 왼쪽으로 말아주어야 합니다. 상체의 형태를 변형시켰을 시 척추의 정렬은 대각선으로 바른 정렬을 이루게 됩니다. / 이런 형태로 말이죠. 골반의 틀어짐은 대부분 허리의 정렬이 맞춰지면 원래대로 돌아가게 됩니다.

 

척추의 정렬이 / 이렇게 맞춰진 상태에서 자세를 유지하거나 호흡을 통해 교정운동을 하게 됩니다.

 

측만증의 경우 좌우의 근육 길이가 다르기에 기능들도 저하됩니다. 좌우의 기능은 우선 길이를 맞추는 것부터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 이형태에서 오른쪽은 근육의 길이가 길고 왼쪽은 짧은 상태가 되겠습니다. 늘어난 부위는 수축성 운동을, 짧아진 부위는 이완성 운동을 적용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수축과 이완운동을 신체 전체적으로 적용시켜야 합니다. 처음엔 한 부위도 유지하기 어려우니, 한 부위씩 유지해주면 되겠습니다. 이 후 자세 유지 부위를 늘려가며 운동을 하게 될 시 점차 근육의 기능들이 되돌아 오면서 점점 정렬이 잡혀 가게 됩니다. 근육은 상호작용을 하기에 전체적으로 하는 게 좋습니다. 그렇다고 지속적으로 한 방향운동을 할 경우 역효과가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누워서 할 경우 위와같이 정렬을 맞추면서 하시되 되시만 옆으로 누울 경우 수건이나 쿠션등을 이용하시면 훨씬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S 방향의 측만증일 때 오른쪽으로 누울 땐 오른쪽 옆구리 밑에 두껍게 말은 수건이나 쿠션을 넣어 정렬을 잡고 하는 것입니다.

 

앉아서 할 경우 오른쪽 엉덩이 밑에 높이가 있는 물건을 놓고 앉아 운동을 하면 되겠습니다. 단, 쿠션감이 너무 큰건 효과가 그만큼 적어지고 자세의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부상의 위험률이 증가하기에 조심하셔야 합니다.

 

서서하는 운동의 경우 이전 글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걷기 운동을 할 땐 정렬을 맞춘 자세를 유지하면서 걸어야 교정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보기엔 이상하고 불편해 보일 수 있으나 본인의 자세를 빨리 잡고자 한다면 타인의 시선은 의식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달리는 운동은 자세를 유지하기 힘들고 지면으로부터 되돌아 오는 충격이 있기에 측만증이 있으신 분들은 교정을 하고 달리는 운동을 하는 걸 추천합니다.

 

어떠한 생활이나 운동이라도 틀어진 척추를 바로 잡을 상태를 인지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일상 생활에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게 가장 중요하고 교정은 시간싸움입니다. 큰 돈보다 유지하는 시간을 많이 투자할 수록 효과를 빨리 볼 수 있으니 인지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소 부족할 수 있으나 큰 도움이 될거라 봅니다. 궁금하거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성실히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정확한 상태와 자세는 의사에게 진단을 받고 전문 교정센터와 같은 곳에서 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글에서는 측만증에서 회전에대해 교정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