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유(7)
-
운동과 통증
안녕하세요. 건강운동관리사 어허다 입니다. 이번엔 운동과 통증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저뿐만 아니라 많은 분들이 운동 중 통증을 느껴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이 통증, 계속 생겨도 괜찮은 걸까요? 먼저 어떤 형태의 통증이 있었는지(있는지)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경험상 통증을 느낄 때 단순히 아프다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그런데 쓰라림, 찌르는 듯한 통증 등 기분나쁜 느낌이거나, 타들어가고 뻑뻑한 느낌을 아프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운동 중 기분나쁜 통증이 느껴진다면 좋지 않은 신호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는 우리몸이 보내는 방어적 신호입니다. 이 신호는 보통 관절에서 나타납니다. 정확히는 관절을 이루는 조직에서 주변조직의 미세한 손상입니다. 손상은 조직이 저항을 이겨내지 못해 생기며, 이 때부..
2020.03.08 -
다이어트 단기간? 장기간?
안녕하세요. 건강운동관리사 어허다 입니다. 이번 시간엔 다이어트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예전부터 다이어트를 하고자 하는 분들이 많았고 최근 몇 년 전부터 훨씬 많은 사람들이 다이어트를 하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다이어트 방법은 아~~~~주 다양하지만 크게 단기간이냐 장기간으로 보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선 대부분 다이어트하면 단기간에 체중 감량을 많이 하는데요. 단기간 다이어트,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요? 기본적으로 단기간 다이어트를 보면 저탄수화물 식단에 고강도, 장시간 운동이 있고, 보조제를 통한 장 운동 증가를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대한 저의 생각을 적어보겠습니다. 저탄수화물에 고강도, 장시간 운동. 그냥 보기엔 아무 문제는 없습니다. 필요 영양소를 섭취는 하니까요. 하지만 탄수화물은 우리 몸에서 아주..
2020.03.07 -
척추측만증Scoliosis 운동 시 자세_회전
안녕하세요. 건강운동관리사 어허다 입니다. 지난 글에 이어 척추측만증 운동 시 자세에 대해 소개합니다. 측만증에서 잡아야 할 건 휘어짐뿐만 아니라 회전도 있습니다. 전에 언급했듯 측만증은 좌/우 휘어짐과 회전이 일어나는 3차원적 문제가 있습니다. 이로인해 눕거나 엎드릴 시 좌/우의 높낮이가 달라져 움직임의 차이와 불편함을 느끼게 됩니다. 회전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지진 않았지만 제 나름 설명하겠습니다. 추측이지만 골반의 전방기울림(anterior tilt)로 인한 걸로 보입니다. 척추는 옆에서 봤을 때 중력이나 체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고유의 곡선(curve)이 있고, 여기에 골반도 앞으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측만증으로 인해 척추의 추간은 한 쪽이 좁아지게 됩니다. 이 때 골반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허리..
2020.03.05 -
척추측만증Scoliosis 운동 자세_회어짐
안녕하세요. 건강운동관리사 어허다 입니다. 이번 글은 척추측만증이 있는 분들이 운동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척추측만증에 대한 얘기는 이전 글에 간단히 썼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요즘 측만증을 가지신 분들이 많습니다. 측만증은 의학적 진단으로 내려지지만 정도가 경하면 진단 받지 않기도 합니다. 측만증은 대부분 성장기에 많이 생기는데, 성장속도에 맞춰 근육이나 인대 등 관절을 지지해주는 조직들의 성장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따라가지 못하여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장기가 끝난 사람의 경우 주로 생활 자세에서 대부분 비롯되고 큰 사고로 인한 외상에 의해 생기기도 합니다. 성장기 자녀들을 두고계신 부모들께선 자녀의 측만증을 신경안쓸 수 없을 겁니다. 이때 교정의 해야하나 어떤 운동을 시켜야할지 생각..
2020.03.03 -
측만증이 있는 분들이 알기에 좋은 스쿼트 방법
안녕하세요. 건강운동관리사 어허다 입니다. 이번엔 측만증(scoliosis)를 가지고 있는 분들에게 스쿼트 시 좋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측만증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측만증(scoliosis)는 척추가 옆으로 휘어져 X-ray촬영(P-A방향)상 S 형태로 보이는 상태입니다. 단순히 옆으로 휘어진 것이 아닌 회전도 발생되어 있고 골반의 높이와 좌/우의 위치도 다른 상태입니다. 이러한 변형은 단시간에 생기는 것이 아닌 장시간의 잘못된 자세나 특정한 사고로 인해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측만증으로 다리 길이의 차이 어깨 높이의 차이 등 여러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측만증은 의학적 진단으로 내려집니다. 약간의 휘어짐은 측만증으로 진단이 안내려 질 수 있으며, 측만의 정도가 심하거나 걱정되는 분들..
2020.03.02 -
발목 유연성 부족인 경우 스쿼트 쉽게 하기
안녕하세요. 건강운동관리사 어허다입니다. 오늘은 발목의 유연성 부족으로 스쿼트 시 많이 앉지 못하고 중심 잡기 힘들어하시는 분들을 위한 팁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먼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1-3cm 정도의 높이의 발판이 필요합니다. 높이는 개인의 발목 유연성에 맞춰 높이를 맞추면 되겠습니다. 발판은 단단해야 하며 바닥도 단단해야 합니다. 모양은 크게 상관없으나 발이 닿는 부위가 평편한 게 좋습니다. 스쿼트 자세는 제 첫 글에 올린 내용과 같으니 참고해주세요. 그럼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쉽게 발을 발판 위에 올리고 스쿼트를 하시면 됩니다. 참 쉽죠? 그런데 여기서 발 전체가 아닌 뒤꿈치만 올리셔야 합니다. 발을 전부 올리게 되면 평평한 바닥에서 하는 것과 같아 발판을 쓴 의미가 없습니다. 발판에 뒤꿈치..
2020.03.01